📖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메타세르카리아

메타세르카리아 (Metacercaria)는 흡충류의 생활사에서 나타나는 유생의 한 형태이다. 세르카리아 유생이 중간 숙주 (보통 어류, 갑각류, 수생식물 등) 내에서 피낭에 싸여 형성되는 발달 단계이다.

특징

  • 피낭: 메타세르카리아는 세르카리아가 중간 숙주 내에서 스스로 분비하는 물질로 형성된 두꺼운 막인 피낭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피낭은 환경적인 스트레스나 최종 숙주의 소화 효소로부터 메타세르카리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감염력: 메타세르카리아는 최종 숙주가 중간 숙주를 섭취할 때 감염을 일으키는 단계이다. 피낭은 최종 숙주의 소화 기관 내에서 녹아 메타세르카리아가 탈낭하여 성충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한다.
  • 형태: 메타세르카리아의 형태는 흡충류의 종에 따라 다양하며, 종종 성충의 초기 형태를 반영한다.

생활사에서의 역할

메타세르카리아는 흡충류의 복잡한 생활사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 세르카리아가 물 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쳐 다니는 단계를 거쳐 중간 숙주 내에서 안정적인 형태로 존재하게 함으로써, 최종 숙주에게 감염될 가능성을 높인다. 최종 숙주는 메타세르카리아가 피낭에 싸여있는 중간 숙주를 섭취함으로써 감염된다.

인간과의 관계

몇몇 흡충류의 메타세르카리아는 인간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폐흡충의 메타세르카리아는 가재나 게를 덜 익혀 먹을 경우 인체에 감염되어 폐흡충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장흡충의 메타세르카리아는 민물고기를 날로 먹을 경우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흡충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간 숙주로 작용하는 어류, 갑각류 등을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