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망월
삭망월은 달의 삭(朔, 초하루)에서 다음 삭까지, 또는 망(望, 보름)에서 다음 망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즉, 달이 차고 기우는 위상 변화의 주기를 나타내는 천문학 용어이다.
정의 및 특징
삭망월은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달이 지구를 공전하면서 태양과 지구 사이를 지날 때를 삭이라고 하며, 이때 달은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다. 반대로 달이 지구 뒤편에 위치하여 태양빛을 완전히 반사할 때를 망이라고 하며, 이때 달은 둥글게 보인다. 삭에서 다음 삭, 또는 망에서 다음 망까지의 주기를 삭망월이라고 한다.
삭망월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약 29.53일이다. 하지만 달의 공전 궤도가 정확한 원이 아니고 타원 궤도이기 때문에 삭망월의 길이는 약간씩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변동은 달의 운동과 관련된 다른 천문 현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삭망월과 관련된 현상
- 조석: 달의 인력은 지구의 바닷물에 영향을 주어 조석 현상을 일으킨다. 삭망 때는 태양과 달의 인력이 합쳐져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폭이 커지는 사리 현상이 나타난다.
- 일식과 월식: 삭일 때는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이 일어날 수 있으며, 망일 때는 지구가 태양빛을 가려 달이 어둡게 보이는 월식이 일어날 수 있다.
- 음력: 삭망월은 음력 달력의 기초가 된다. 음력은 달의 위상 변화를 기준으로 날짜를 세는 달력으로, 삭을 매달 초하루로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