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
독거(獨居)는 혼자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과 함께 살지 않고, 독립적인 공간에서 개인의 생활을 영위하는 상태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독거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의 선택, 배우자와의 사별, 이혼, 가족과의 불화, 경제적인 이유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독거의 유형
- 자발적 독거: 개인의 가치관이나 선호에 따라 혼자 사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이다. 독립적인 생활을 통해 자유와 자기 계발의 기회를 추구하거나, 인간관계에 대한 피로감을 느껴 독거를 선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비자발적 독거: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배우자의 사망, 이혼, 실직, 질병 등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혼자 살게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사회적 고립감, 경제적 어려움,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고령 독거: 고령층이 배우자나 자녀와 떨어져 혼자 사는 경우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고령 독거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건강 관리, 안전 문제, 외로움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독거의 사회적 영향
독거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개인의 독립성 강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출현 등이 있으며,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사회적 고립 심화, 고독사 증가, 사회 경제적 부담 증가 등이 있다. 따라서 독거 인구 증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관련 용어
- 1인 가구
- 고독사
- 사회적 고립
- 실버세대
- 나홀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