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290건

극기복례

극기복례는 자신의 사욕을 누르고 예(禮)에 맞는 행동을 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논어 안연편(顔淵篇)에 처음 등장하며, 공자가 제자인 안연에게 인(仁)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제시되었다.

어원 및 의미

  • 극기(克己): 자신을 이긴다는 뜻으로, 사사로운 욕심이나 감정을 억누르고 절제함을 의미한다.
  • 복례(復禮): 예(禮)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인간 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규범인 예에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극기복례는 단순히 예절을 지키는 것을 넘어, 내면의 욕망을 다스리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올바른 행동을 하는 것을 강조한다.

유래

논어 안연편에서 공자는 "극기복례위인(克己復禮爲仁)"이라 하여, "자신을 이겨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仁)이다."라고 말했다. 여기서 인(仁)은 인간의 본성인 어짊을 의미하며, 공자는 극기복례를 통해 인을 실천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함의 및 중요성

극기복례는 개인의 수양뿐만 아니라 사회 질서 유지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개인적으로는 욕망을 절제하고 도덕적인 삶을 살도록 이끌며, 사회적으로는 예(禮)를 통해 구성원 간의 조화와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유교 사회에서는 극기복례를 통해 이상적인 인간, 즉 군자가 될 수 있다고 여겼다.

현대적 의의

현대 사회에서도 극기복례는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개인의 욕망을 절제하고 공동체의 규칙을 존중하는 것은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을 갖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극기복례는 자기 통제력, 책임감, 배려심 등 긍정적인 인성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