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191건

근염

근염은 근육 조직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의 총칭이다. 염증은 근육 섬유를 손상시키고 근력 약화, 통증, 압통,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근염은 감염, 자가면역 질환, 약물, 독성 물질 노출,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분류

근염은 원인과 임상 양상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다발근염 (Polymyositis): 주로 어깨, 엉덩이, 목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염증성 근육 질환이다.
  • 피부근염 (Dermatomyositis): 다발근염과 유사한 증상과 함께 특징적인 피부 발진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눈 주위, 손등, 가슴 부위에 붉거나 보라색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 봉입체 근염 (Inclusion body myositis): 가장 흔한 후천성 근육 질환 중 하나이며, 서서히 진행되는 근력 약화가 특징이다. 특히 손가락 굽힘 근육, 허벅지 앞쪽 근육, 발목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 감염성 근염 (Infectious myositis):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근염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등이 흔한 원인이다.
  • 약물 유발 근염 (Drug-induced myositis): 스타틴, 콜히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 특정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근염이다.

증상

근염의 증상은 유형과 심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근력 약화: 팔, 다리, 목 근육 등 다양한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계단 오르기, 물건 들기, 머리 들기 등이 어려워질 수 있다.
  • 근육 통증 및 압통: 근육이 아프거나 만졌을 때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 피로: 쉽게 지치고 기운이 없을 수 있다.
  • 삼킴 곤란 (Dysphagia): 목 근육 약화로 인해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울 수 있다.
  • 호흡 곤란: 횡격막이나 흉곽 근육 약화로 인해 호흡이 곤란해질 수 있다.
  • 피부 발진 (Dermatomyositis): 눈 주위, 손등, 가슴 부위에 붉거나 보라색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근염 진단에는 다음과 같은 검사가 사용될 수 있다.

  • 혈액 검사: 근육 효소 (크레아틴 키나제, 알돌라제 등) 수치 상승, 자가항체 검사 등을 통해 근염 여부를 확인한다.
  • 근전도 검사 (Electromyography, EMG):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근육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 근육 생검 (Muscle biopsy): 근육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염증 세포 침윤, 근육 섬유 손상 등을 확인한다.
  • 자기공명영상 (MRI): 근육의 염증, 부종 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치료

근염 치료는 원인과 심각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약물 치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등), 면역글로불린 등을 사용하여 염증을 줄이고 면역 체계를 조절한다.
  • 물리 치료: 근력 강화 운동, 스트레칭 등을 통해 근력과 기능을 회복하고 유지한다.
  • 작업 치료: 일상생활 활동을 개선하고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휴식: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과도한 활동을 피한다.

예후

근염의 예후는 유형, 심각도, 치료 반응에 따라 다르다. 일부 유형의 근염은 치료에 잘 반응하여 완치될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일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예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