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074건

오스굿슐라터 병

오스굿-슐라터병 (Osgood-Schlatter disease)은 주로 활동적인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무릎 통증의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정강이뼈 윗부분, 즉 경골 결절에 통증과 부종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원인

오스굿-슐라터병은 경골 결절에 부착된 슬개건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발생하는 견인성 골단염의 일종입니다. 성장기에는 뼈보다 근육과 힘줄이 먼저 성장하기 때문에, 격렬한 운동이나 활동으로 인해 슬개건이 반복적으로 당겨지면 경골 결절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고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달리기, 점프, 방향 전환이 잦은 운동 (예: 농구, 축구, 배구)을 하는 청소년들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증상

  • 경골 결절 부위의 통증 및 압통
  • 경골 결절 부위의 부종 및 발적
  • 운동 후 통증 악화
  • 무릎 꿇기, 계단 오르내리기, 점프 시 통증 악화
  • 무릎 주변 근육의 경직

진단

오스굿-슐라터병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병력 및 신체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엑스레이 검사는 다른 질환을 배제하고 경골 결절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오스굿-슐라터병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자가 제한적인 질환입니다. 치료의 목표는 통증을 완화하고 활동 수준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 휴식: 통증을 악화시키는 활동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냉찜질: 하루에 여러 번, 20분씩 냉찜질을 하면 통증과 부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진통제: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s)는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물리 치료: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운동은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슬개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보조기: 심한 경우, 무릎 보조기를 착용하여 경골 결절을 지지하고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후

대부분의 경우, 오스굿-슐라터병은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인 사춘기가 끝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일부 환자는 성인이 되어서도 경골 결절 부위에 약간의 돌출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지만, 이는 기능적인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뭅니다.

주의 사항

오스굿-슐라터병으로 진단받은 경우, 의료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치료 계획을 준수하고, 통증이 심해지면 활동을 중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