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돌린
만돌린(Mandolin)은 류트족에 속하는 발현악기로, 배 모양의 몸통에 짧은 목, 그리고 8개의 금속 현(4쌍)을 가지고 있다. 주로 플렉트럼(피크)을 사용하여 연주하며, 밝고 경쾌한 음색을 낸다.
기원 및 역사
만돌린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류트의 일종인 만돌라(Mandola)에서 파생된 악기로 알려져 있다. 18세기 바로크 시대에 다양한 형태의 만돌린이 등장했으며, 특히 나폴리 스타일의 만돌린이 널리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블루그래스, 컨트리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었다.
종류
만돌린은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나폴리 만돌린 (Neapolitan mandolin):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둥근 배 모양의 몸통을 가지고 있다.
- 플랫백 만돌린 (Flat-back mandolin): 몸통 뒷면이 평평한 형태로, 나폴리 만돌린에 비해 음량이 크고 음색이 강하다.
- 아치탑 만돌린 (Archtop mandolin): 기타와 유사하게 몸통 윗면과 뒷면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으며, 재즈 음악에 주로 사용된다.
연주 및 활용
만돌린은 클래식 음악, 민속 음악, 블루그래스, 컨트리 음악,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된다. 독주 악기로 연주되기도 하고, 앙상블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만돌린 연주자로는 크리스 틸(Chris Thile), 마이크 마샬(Mike Marshall) 등이 있다.
관련 용어
- 플렉트럼 (Plectrum): 만돌린을 연주하는 데 사용되는 피크.
- 트레몰로 (Tremolo): 음을 빠르게 반복하여 지속적인 효과를 내는 연주 기법.
- 만돌라 (Mandola): 만돌린보다 크기가 크고 음역이 낮은 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