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343건

사잇소리

사잇소리는 한국어의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형태소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형태소의 시작이 모음일 때, 두 형태소 사이에 덧붙어 나는 소리를 말한다. 이는 표준 발음법에서 규정하는 현상으로, 특정 조건 하에서만 나타난다.

정의

사잇소리는 두 형태소가 결합할 때, 그 사이에 특정 자음이 첨가되어 발음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여기서 첨가되는 자음은 주로 'ㄴ', 'ㄷ' 소리이며, 때로는 된소리되기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발음을 보다 용이하게 하거나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발생하는 음운 현상으로 해석된다.

사잇소리 현상의 조건

사잇소리 현상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때 발생한다.

  1. 합성어 또는 파생어일 것
  2. 앞 형태소의 끝이 자음이고, 뒤 형태소의 시작이 모음일 것
  3. 다음의 경우에 해당할 것:
    • 뒷말이 'ㅑ, ㅕ, ㅛ, ㅠ, ㅣ'로 시작하는 경우: 'ㄴ' 소리 첨가 (예: 솜이불 → [솜니불])
    • 사이시옷이 붙는 경우: 뒤에 오는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함 (예: 촛불 → [초뿔])

표기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나는 단어 중 일부는 사이시옷(ㅅ)을 표기에 반영한다. 사이시옷은 다음의 조건에 따라 사용된다.

  1. 고유어+고유어 합성어일 경우
  2.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3. 두 음절로 된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음 (예외: 셋방, 찻간, 툇간, 횟수, 곳간, 숫자)

예시

  • 깻잎 → [깬닙] ('ㄴ' 첨가)
  • 콧날 → [콘날] ('ㄴ' 첨가)
  • 바닷가 → [바다까] (된소리되기)
  • 나뭇잎 → [나문닙] ('ㄴ' 첨가)
  • 햇볕 → [해뼏] (된소리되기)

주의사항

모든 합성어에서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표준 발음법에 따라 예외적인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사잇소리 현상은 발음상의 변화이므로, 표기와 발음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