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286건

백질

백질 (白質, white matter)은 중추신경계, 특히 뇌와 척수를 구성하는 주요 조직 중 하나이다. 주로 유수신경섬유(myelinated nerve fibers), 즉 미엘린 수초로 둘러싸인 축삭(ax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경세포체(neuron cell bodies)가 주를 이루는 회백질(gray matter)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구조 및 구성

백질의 흰색은 미엘린 수초에서 기인한다. 미엘린은 지방 성분이 풍부한 절연 물질로, 축삭을 감싸 신경 신호의 전달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백질은 다양한 신경 섬유 다발, 즉 신경로(nerve tracts)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뇌의 여러 영역 간 또는 뇌와 척수 간의 정보 전달을 담당한다. 백질 내에는 신경교세포(glial cells)인 희소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s), 성상교세포(astrocytes), 미세아교세포(microglia) 등도 존재하며, 이들은 신경 섬유의 구조적 지지, 영양 공급, 면역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능

백질의 주요 기능은 뇌의 여러 영역 간, 그리고 뇌와 척수 간의 정보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미엘린 수초는 축삭을 절연하여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가 축삭을 따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백질은 감각 정보 처리, 운동 조절, 인지 기능 등 다양한 신경 활동에 필수적이다.

임상적 중요성

백질은 다양한 신경 질환에 취약하다. 미엘린 수초 손상으로 발생하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은 백질의 기능을 저하시켜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외상성 뇌 손상(traumatic brain injury)이나 뇌졸중(stroke)과 같은 질환도 백질에 손상을 일으켜 인지 기능 장애, 운동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백질의 변화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신경영상 기법을 통해 백질의 구조적 이상이나 손상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