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수막종

수막종(髓膜腫, Meningioma)은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막인 수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다. 대부분 양성 종양이며, 매우 느리게 성장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종양의 위치에 따라 뇌나 척수를 압박하여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개요

수막종은 뇌종양 중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종양으로, 전체 뇌종양의 약 20~30%를 차지한다.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며, 주로 40대 이후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수막종은 일반적으로 뇌 조직 자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수막에서 발생하여 뇌를 압박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뇌종양과는 약간 다른 특성을 가진다.

원인

수막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호르몬, 방사선 노출 등이 관련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신경섬유종증 2형(Neurofibromatosis type 2, NF2) 환자에게서 수막종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수막종의 증상은 종양의 크기, 위치, 성장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시력 저하, 복시, 팔다리 마비, 감각 이상, 언어 장애, 발작 등이 있다. 종양이 뇌의 특정 부위를 압박할 경우 해당 부위의 기능 장애와 관련된 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수막종은 주로 뇌 MRI(자기 공명 영상) 또는 CT(컴퓨터 단층 촬영)를 통해 진단된다. MRI는 종양의 크기, 위치, 뇌 조직과의 관계 등을 더욱 자세하게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치료

수막종의 치료 방법은 종양의 크기, 위치, 증상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적 제거, 방사선 치료, 감마나이프 수술 등이 있다.

  • 수술적 제거: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종양의 위치가 뇌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에 위치해 있거나, 종양의 크기가 너무 커서 완전한 제거가 어려운 경우에는 부분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 방사선 치료: 수술 후 남아있는 종양 조직을 제거하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 감마나이프 수술: 방사선 치료의 한 종류로, 정밀하게 조절된 방사선을 종양에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종양 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이다.

예후

수막종은 대부분 양성 종양이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종양의 위치, 크기, 성장 속도,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예후가 달라질 수 있다. 수술 후 재발 가능성이 있으며, 악성 수막종의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