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음소리
받음소리는 한국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주된 가락이나 소리(예: 선창자나 주된 연주자의 부분)에 뒤이어 받거나 응답하는 부분의 소리 또는 연주를 이른다. 판소리, 산조, 민요, 농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난다.
받음소리는 선행하는 주된 소리에 대한 응답, 메아리, 또는 후렴구의 역할을 하기도 하며, 주선율을 보조하고 음악에 구조적인 안정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주자나 창자와 반주 악기나 다른 연주자/창자 간의 음악적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주된 소리 부분(먹임소리 등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볼 수도 있다)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거나 정해진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리듬적인 요소가 강조되기도 한다. 장르나 곡의 특성에 따라 그 형태와 역할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음악적 대화 구조를 형성하고, 전체 음악에 풍성함과 입체감을 더하는 기능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