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7,594건

미세먼지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직경 10마이크로미터(µm) 이하의 매우 작은 먼지 입자를 말한다. 크기에 따라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PM10은 지름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먼지 입자를, PM2.5는 지름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먼지 입자를 의미한다. PM2.5는 PM10보다 입자가 훨씬 작아서 기관지나 폐포에 침투하여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 각종 건강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

발생 원인: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은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적 요인으로는 화산 폭발, 황사, 산불, 해풍 등이 있으며, 인위적 요인으로는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 시설 배출물, 건설 현장의 먼지, 난방 시설 등이 있다.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와 산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연은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원으로 꼽힌다. 계절적인 요인도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겨울철 난방 및 자동차 사용 증가로 인해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건강 영향: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기관지염, 천식, 폐렴 등),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PM2.5는 폐 깊숙이 침투하여 폐 기능 저하, 폐암 발생 위험 증가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어린이, 노인, 호흡기 질환자 등 취약 계층은 미세먼지에 더욱 취약하다.

측정 및 관리: 미세먼지 농도는 환경부 등에서 설치한 측정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며, 대기오염 정보 사이트 등을 통해 공개된다. 미세먼지의 발생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는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강화, 산업 시설 배출 기준 강화, 친환경 에너지 사용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 등의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용어: PM10, PM2.5, 초미세먼지, 황사, 대기오염, 미세먼지 센서, 미세먼지 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