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290건

묵과

묵과(默過)는 잘못이나 과실, 또는 불법적인 행위 등을 알고도 모르는 척 눈감아 넘기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간과하는 것과는 달리, 문제 상황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거나 방치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어원

"묵과"는 침묵할 묵(默)과 지날 과(過) 자로 이루어진 한자어이다. 즉, "침묵하며 지나치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징

  • 인지된 문제: 묵과는 단순히 부주의하여 문제를 놓치는 간과와는 달리, 문제 상황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방임적 태도: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소극적으로 방관하는 태도를 보인다.
  • 결과 책임: 묵과는 방치된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법률적 의미

법률 용어로서의 묵과는 형법, 민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공무원의 직무유기, 배임 행위 등과 관련하여 문제되는 경우가 많다. 묵과 행위는 상황에 따라 범죄 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

사회적 의미

묵과는 개인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정부패, 불공정 행위 등을 묵과하는 것은 사회 정의를 훼손하고, 사회 전체의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

관련 용어

  • 간과 (看過): 부주의하여 알아채지 못하고 지나침.
  • 방관 (傍觀): 직접 나서지 않고 옆에서 보기만 함.
  • 직무유기 (職務遺棄): 공무원이 정당한 이유 없이 직무를 수행하지 않거나 포기하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