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6,486건

동방 고대교회

동방 고대교회(Oriental Orthodox Churches)는 451년에 열린 칼케돈 공의회 이후 분리된 기독교 교파들의 연합체이다. 이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정, 특히 그리스도의 위격(Person)에 대한 정의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주로 중동, 아프리카, 인도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 동방 정교회(Eastern Orthodox Church)와는 구분되는 별개의 교단 연합이다.

역사

동방 고대교회의 분리는 주로 451년에 열린 칼케돈 공의회에서 비롯되었다. 이 공의회는 그리스도의 신성(Divinity)과 인성(Humanity)이 나뉘지 않고 혼합되지 않으며 변하지 않고 분리되지 않게 '하나의 위격' 안에 존재한다는 정의를 내렸다. 그러나 이 정의에 반대한 교회들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나누어질 수 없이 단일한 본성'(Miaphysitism, 미아피시티즘) 안에 통합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칼케돈 신경을 거부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들 교회는 로마 교황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좌를 따르는 교회들(훗날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로 분리됨)로부터 이탈하게 되었다. 분리 이후, 이들 교회는 각자의 지역과 문화 속에서 고유의 전통과 신학을 발전시켜왔다.

신학

동방 고대교회의 신학은 칼케돈 공의회 이전의 전통, 특히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신학적 흐름을 강조한다. 이들은 그리스도 안에 신성과 인성이 결합되어 '하나의 통일된 본성'(미아피시스, Miaphysis)을 이룬다고 믿는다. 이는 신성과 인성이 분리되거나 혼합되는 단성론(Monophysitism)과는 구별된다고 주장하며, 미아피시티즘이야말로 사도적 신앙을 올바르게 계승한 것이라고 강조한다. 성경과 더불어 초대 공의회(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에페소스)의 결정과 교부들의 가르침을 중요하게 여긴다.

주요 구성 교회

동방 고대교회 연합은 여러 개의 자치(autocephalous) 또는 자율(autonomous) 교회를 포함한다. 주요 교회로는 다음과 같다.

  • 콥트 정교회 (이집트 및 디아스포라)
  •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레바논 및 디아스포라)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및 디아스포라)
  •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및 디아스포라)
  • 에리트레아 정교회 (에리트레아 및 디아스포라)
  • 말랑카라 정교회 (인도)

각 교회는 고유의 전례(liturgy)와 신앙 관습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 문화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현재

동방 고대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 명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고유 문화와 신앙 전통을 보존하며 해당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기독교 교단, 특히 동방 정교회 및 로마 가톨릭교회와는 최근 수십 년간 신학 대화를 통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있으며, 역사적 분리에도 불구하고 공통의 사도적 기원과 많은 신학적 요소들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