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압축
데이터 압축은 컴퓨터 과학 및 정보 이론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나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된다. 압축은 중복된 정보를 제거하거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압축 방식은 크게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으로 나뉜다.
-
무손실 압축: 원본 데이터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는 압축 방식이다.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데이터베이스 등 정보 손실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LZ77, LZ78, 허프만 부호화, 런 길이 부호화(RLE) 등이 대표적인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이다.
-
손실 압축: 일부 정보를 희생하여 압축률을 높이는 방식이다. 압축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만, 인간의 감각으로는 그 차이를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미한 경우가 많다. 이미지 (JPEG), 오디오 (MP3), 비디오 (MPEG)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에 주로 사용된다. 손실 압축은 압축률이 높은 반면, 압축 해제 후 원본 데이터와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데이터 압축은 저장 공간 효율성 증대, 전송 속도 향상, 데이터 보안 강화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며,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다양한 압축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있으며, 데이터의 종류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압축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