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호
담수호는 바다와 분리되어 염분 농도가 낮거나 없는 물이 고여 있는 호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증발량보다 많아 염분이 축적되지 않으며, 지리적으로는 해안가에 위치하거나 과거 해안이었던 지역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형성 과정
담수호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 사주 또는 방파제: 파랑, 연안류 등의 작용으로 모래나 흙이 쌓여 사주나 방파제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바다와 격리된 지역에 담수가 고여 담수호가 만들어진다.
- 지반 침하: 지각 변동이나 지하수 과다 사용 등으로 인해 지반이 침하되어 해수면보다 낮아진 지역에 담수가 유입되어 담수호가 형성될 수 있다.
- 빙하 작용: 빙하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움푹한 지형에 빙하가 녹은 물이나 빗물 등이 고여 담수호가 만들어진다.
- 하천의 퇴적 작용: 하천이 운반해 온 퇴적물이 하구에 쌓여 자연적인 댐을 형성하고, 그 상류 지역에 담수가 고여 담수호가 형성될 수 있다.
특징 및 중요성
담수호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중요성을 가진다.
- 수자원: 담수호는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수자원이다.
- 생태계: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며, 생물 다양성 유지에 기여한다. 특히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홍수 조절: 홍수 발생 시 일시적으로 물을 저장하여 하류 지역의 홍수 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 관광 자원: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여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 수질 관리: 주변 지역의 오염 물질 유입으로 인해 수질 오염에 취약하며, 지속적인 수질 관리가 필요하다.
주요 담수호
- 국내: 석촌호수, 영랑호, 송지호, 경포호 등
- 해외: 슈페리어호, 바이칼호, 빅토리아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