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065건

대한민국 국적법

대한민국 국적법은 대한민국 국민이 되는 요건과 국적의 취득, 상실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법률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2조에서 "국민의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제정되었다.

주요 내용:

  • 국적 취득: 출생, 인지, 귀화 등의 방법을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 출생: 부모 양계혈통주의를 원칙으로 하며, 부모 중 한 명이라도 대한민국 국민이면 출생 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다. 예외적으로 대한민국 영역 내에서 출생하였으나 부모가 모두 분명하지 않거나 국적이 없는 경우에는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다.
    • 인지: 대한민국 국민인 부(父) 또는 모(母)가 혼인 외의 자녀를 인지한 경우, 해당 자녀는 법무부장관에게 신고함으로써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 귀화: 외국인이 법무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는 제도이다. 일반귀화, 간이귀화, 특별귀화 등의 종류가 있다.
  • 국적 상실: 대한민국 국민이 스스로 외국 국적을 취득하거나, 외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하는 경우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다.
  • 국적 회복: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했던 사람이 법무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다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는 제도이다.
  • 복수국적: 원칙적으로 대한민국 국적법은 복수국적을 허용하지 않으나,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외국 국적을 포기하지 않거나, 외국인 배우자와의 혼인 등으로 인하여 외국 국적을 취득하게 된 경우가 있다. 복수국적자는 대한민국 내에서는 대한민국 국민으로만 인정된다.
  • 국적 판정: 국적의 취득, 상실, 보유 등에 관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법무부장관이 국적 판정을 할 수 있다.

관련 법률:

  • 대한민국 헌법
  • 출입국관리법
  •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최근 개정:

국적법은 시대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다. 최근에는 저출산 문제 해결 및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해 복수국적 허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