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445건

대륙판

대륙판은 지구의 표면을 구성하는 판의 일종으로, 주로 규산알루미늄질의 암석으로 이루어진 대륙 지각을 포함하는 판을 말한다. 해양판에 비해 두껍고 밀도가 낮으며, 더 오래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징

  • 구성: 주로 화강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진 대륙 지각과, 그 아래의 상부 맨틀로 구성된다.
  • 두께: 해양판에 비해 훨씬 두꺼우며, 평균적으로 30~70km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산맥과 같은 지형에서는 그 두께가 더욱 두꺼워질 수 있다.
  • 밀도: 해양판에 비해 밀도가 낮아, 맨틀 위에 떠 있는 듯한 상태를 유지한다.
  • 나이: 해양판에 비해 훨씬 오래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십억 년 된 암석도 발견된다.
  • 이동: 다른 판들과 마찬가지로 맨틀 대류에 의해 이동하며, 대륙 이동의 원동력이 된다.

역할

대륙판은 지구 표면의 지형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판의 경계에서는 지진, 화산 활동, 습곡 산맥 형성 등 다양한 지질 현상이 발생하며, 대륙의 분포와 형태를 결정짓는다. 또한, 대륙판의 이동은 기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판 경계

대륙판은 다른 판과의 경계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한다.

  • 수렴 경계: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경우,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대표적인 예로 히말라야 산맥이 있다.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밀도가 높은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며, 해구와 호상 열도를 형성한다.
  • 발산 경계: 대륙판이 갈라지는 경우, 지구대(rift valley)가 형성된다.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대표적인 예이다.
  • 보존 경계: 대륙판과 대륙판이 스쳐 지나가는 경우, 변환 단층이 형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