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빙
대륙빙은 대륙 지표면의 넓은 지역을 덮고 있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를 말한다. 수천 년에서 수십만 년에 걸쳐 눈이 지속적으로 쌓이고 자체 압력에 의해 얼음으로 변하면서 형성된다. 대륙빙은 지구 담수의 대부분을 저장하고 있으며,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해수면 높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가장 대표적인 대륙빙으로는 남극 대륙과 그린란드를 덮고 있는 빙상(ice sheet)이 있다.
형성 대륙빙은 특정 지역에 눈이 녹는 양보다 쌓이는 양이 많을 때 형성되기 시작한다. 쌓인 눈은 자체 무게와 추가로 쌓이는 눈의 압력에 의해 점차 밀도가 높아져 과립상 눈(firn)을 거쳐 단단한 얼음으로 변한다. 이러한 과정이 오랜 기간 반복되면서 두껍고 광대한 얼음 덩어리가 만들어진다.
특징
- 규모: 대륙빙은 수십만에서 수백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넓은 면적을 덮으며, 두께는 수백 미터에서 최대 수천 미터에 이른다.
- 흐름: 거대한 얼음 덩어리는 중력과 내부 압력에 의해 매우 느리게 가장자리 쪽으로 흘러내리는데, 이를 빙하의 흐름이라고 한다.
- 내부 구조: 대륙빙 내부에는 과거 눈이 쌓일 때의 대기 성분, 기온, 화산 활동 등 고기후 정보가 얼음층 속에 보존되어 있다. 이를 분석하는 얼음 코어 연구는 지구의 과거 환경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유형 대륙빙은 규모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빙상(Ice Sheet): 면적이 50,000 제곱킬로미터 이상인 매우 큰 얼음 덩어리로, 대륙의 지형을 거의 완전히 덮는다. 남극 빙상과 그린란드 빙상이 대표적이다.
- 빙모(Ice Cap): 면적이 50,000 제곱킬로미터 미만인 비교적 작은 얼음 덩어리로, 주로 산봉우리나 고원 지역을 덮는다. 아이슬란드, 캐나다 북부, 러시아 북극해 섬 등지에서 볼 수 있다.
주요 분포지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대규모 대륙빙은 극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 남극 대륙: 지구상에서 가장 큰 대륙빙인 남극 빙상을 포함한다.
- 그린란드: 남극 다음으로 큰 빙상인 그린란드 빙상을 포함한다.
- 기타: 캐나다 북부, 러시아의 북극해 섬, 아이슬란드, 파타고니아 등에도 빙모 형태의 대륙빙이 분포한다.
중요성
- 담수원: 지구 표면 담수의 약 99% 이상을 대륙빙(특히 빙상)이 저장하고 있다.
- 해수면 변화: 대륙빙이 녹으면 해수면을 크게 상승시켜 연안 지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기후 조절: 하얀 표면은 태양광을 반사하여 지구의 알베도(albedo)를 높임으로써 지구의 열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차가운 얼음은 주변 대기와 해양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 고기후 연구: 얼음 코어에 기록된 정보를 통해 수십만 년 전의 기후 변화, 대기 구성, 화산 폭발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관련 개념
- 빙하 (Glacier)
- 빙상 (Ice Sheet)
- 빙모 (Ice Cap)
- 빙붕 (Ice Shelf)
- 해빙 (Sea Ice)
- 영구 동토층 (Permafrost)
- 빙하기 (Ice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