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8,386건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대구경북통합신공항(Daegu Gyeongbuk Integrated New Airport)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항공 수요를 충족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 중인 공항 건설 사업이다. 기존 대구국제공항과 군 공항(K-2)을 이전하여 건설되는 통합 공항으로, 군사 시설과 민간 시설을 함께 운영하는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개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은 단순한 공항 이전 사업을 넘어, 대구경북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활주로, 여객 터미널, 화물 터미널 등 공항 시설은 물론, 배후 도시 개발을 통해 물류, 비즈니스, 관광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추진 배경

  • 대구국제공항의 포화 상태: 기존 대구국제공항은 시설 노후화와 공간 부족으로 인해 항공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 군 공항 이전 필요성: K-2 군 공항은 도심에 위치하여 소음 문제와 안전 문제 등을 야기해왔으며, 이전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 지역 경제 활성화: 통합신공항 건설을 통해 항공 물류, 관광 산업 등을 육성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내용

  • 위치: 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및 의성군 비안면 일대 (예정)
  • 규모: 활주로 2본 (군, 민 공용), 여객 터미널, 화물 터미널 등
  • 사업 방식: 기부대양여 방식 (기존 공항 부지 매각 대금으로 신공항 건설)

기대 효과

  • 항공 교통 편의 증진 및 항공 수요 충족
  • 물류, 비즈니스, 관광 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 도심 소음 문제 해소 및 군사 작전 효율성 증대
  • 대구경북 지역의 국제 경쟁력 강화

논란 및 쟁점

  • 공항 명칭: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명칭을 두고 지역 사회 내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 접근성: 신공항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통망 확충 계획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환경 영향: 공항 건설로 인한 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환경 보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 국토교통부
  • 대구광역시청
  • 경상북도청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추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