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백전
당백전(當百錢)은 조선 말기인 1866년(고종 3년) 11월부터 발행된 고액 화폐이다. 기존의 상평통보보다 액면가가 100배나 높아 '당백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배경 및 발행
조선 말기, 국가 재정이 극도로 악화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책으로 흥선대원군이 추진한 정책 중 하나였다. 경복궁 중건 등 대규모 토목 공사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고, 고갈된 국가 재정을 충당하고자 발행되었다.
내용
당백전은 상평통보와 마찬가지로 엽전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크기가 훨씬 크고 무게도 더 무거웠다. 앞면에는 '당백전(當百錢)'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며, 뒷면에는 '戶曹(호조)'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문제점 및 폐지
당백전은 액면가에 비해 실제 가치가 낮아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화폐 가치가 하락하면서 물가가 폭등하고, 백성들의 생활은 더욱 어려워졌다. 또한, 당백전의 무분별한 발행은 경제 혼란을 가중시켰다. 결국, 발행된 지 8개월 만인 1867년 6월에 주조가 중단되고 통용이 금지되었다.
영향
당백전 발행은 조선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으며, 국가 재정 악화를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켜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당백전의 실패는 흥선대원군의 경제 정책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