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칼비니즘
뉴 칼비니즘(New Calvinism)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에 걸쳐 나타난 복음주의 기독교 내의 신학적, 문화적 운동으로, 16세기 종교개혁가 장 칼뱅의 신학적 유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적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넓은 의미로는 칼뱅주의 신학에 영향을 받은 다양한 흐름을 포괄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특정한 특징을 공유하는 비교적 뚜렷한 운동으로 간주된다.
주요 특징:
- 칼뱅주의 신학의 강조: 하나님의 주권, 예정, 인간의 전적 타락,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등 칼뱅주의의 핵심 교리를 강조한다.
- 성경의 권위: 성경의 무오성과 절대적인 권위를 인정하며, 성경적 가르침을 삶의 모든 영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 선교적 열정: 복음 전파와 사회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며, 문화 변혁을 추구한다.
- 교회 중심주의: 건강한 교회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회 개혁을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한다.
- 젊은 세대의 주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현대적인 문화 감각과 소통 방식을 활용한다.
논쟁과 비판:
뉴 칼비니즘은 보수적인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시도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음과 같은 비판에 직면하기도 한다.
- 신학적 경직성: 예정론 등 일부 교리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인해 인간의 자유 의지를 무시하고,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 문화적 배타성: 특정 문화적 가치를 절대화하고,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 엘리트주의: 특정 지도자나 교회 중심으로 운동이 전개되어, 평신도의 참여를 제한하고, 권위주의적인 경향을 보일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주요 인물:
뉴 칼비니즘과 관련된 주요 인물로는 팀 켈러(Tim Keller), 존 파이퍼(John Piper), 맷 챈들러(Matt Chandler), 알버트 몰러(Albert Mohler) 등이 있다.
영향:
뉴 칼비니즘은 북미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현대 복음주의 기독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교회의 성장과 선교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