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033건

상륙함

상륙함은 해군 함정의 일종으로, 해병대 병력, 장비, 화물을 해상에서 적 해안으로 수송 및 상륙시키는 데 특화된 함선이다. 상륙 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유형의 상륙함이 존재한다.

개요

상륙함은 적 해안에 대한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상륙 병력과 장비를 안전하게 수송하고, 해안에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현대 상륙함은 헬리콥터, 상륙정, 수륙양용 장갑차 등을 운용하여 해안 상륙 능력을 극대화한다. 또한, 자체 방어 능력과 지휘 통제 시설을 갖추고 있어 상륙 작전의 효율성을 높인다.

분류

상륙함은 그 크기, 기능, 탑재 능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강습상륙함 (LHA/LHD): 헬리콥터, 수직 이착륙기 (VTOL), 상륙정 등을 운용하여 대규모 상륙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대형 함정이다. 항공모함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며, 해병대 항공 전력의 운용 기지 역할도 수행한다.
  • 도크형 상륙함 (LSD): 함미에 도크를 가지고 있어 상륙정을 탑재하고, 해상에서 상륙정을 진수시켜 해안으로 접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륙정 외에도 헬리콥터를 운용할 수 있다.
  • 전차상륙함 (LST): 해안에 직접 접안하여 전차, 장갑차, 병력 등을 하역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함정이다. 얕은 해안에 접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대량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역사

상륙함의 개념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같은 대규모 상륙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상륙함이 개발 및 운용되었다. 전후 냉전 시대에는 해병대의 전력 투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륙함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현대 상륙함

오늘날 상륙함은 해상 강습, 재해 구호, 인도적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해병대의 원정 기동 작전을 지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현대 상륙함은 스텔스 기술, 첨단 통신 장비, 정밀 타격 능력 등을 갖추어 생존성과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