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턴식 망원경
뉴턴식 망원경(Newtonian telescope)은 아이작 뉴턴이 1668년경에 발명한 반사 망원경의 한 종류이다. 굴절 망원경의 색수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오목 거울을 주경으로 사용하고 평면 거울을 부경으로 사용하여 빛을 옆으로 꺾어 접안렌즈로 상을 관측하는 방식이다.
주경은 구면 또는 포물면 형태의 오목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모아 반사시킨다. 이 빛은 망원경 통로 앞쪽에 위치한 작은 평면 거울(부경)에 의해 90도로 꺾여 망원경 옆면에 위치한 접안렌즈로 향하게 된다. 관측자는 접안렌즈를 통해 확대된 상을 관측할 수 있다.
뉴턴식 망원경은 제작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굴절 망원경에 비해 색수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면수차를 줄이기 위해 포물면 거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부경으로 인해 상의 일부가 가려지거나, 코마 수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뉴턴식 망원경은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으며, 다양한 크기와 성능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천문 교육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형 망원경의 경우, 뉴턴식 초점은 관측 장비를 설치하기 용이하여 과학 연구에도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