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안근
내안근 (內眼筋, internal rectus muscle) 또는 안쪽곧은근은 눈을 움직이는 여섯 개의 외안근 중 하나로, 눈을 안쪽으로 모으는 기능을 담당한다.
개요
내안근은 외안근 중 가장 강력한 근육으로, 안구를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양쪽 눈이 코 쪽으로 모이는 현상인 '내전'을 가능하게 한다. 내안근의 마비 또는 약화는 복시(diplopia)를 유발할 수 있으며, 사시(strabismus)의 한 형태인 외사시(exotropia)를 초래할 수 있다.
기원 및 부착
내안근은 총안륜(common tendinous ring, annulus of Zinn)의 내측 부분에서 기원한다. 총안륜은 안와첨(orbital apex)에 위치하며, 다른 외안근들의 기점이기도 하다. 내안근은 안구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하여 각막 윤부에서 약 5.5mm 떨어진 지점에 공막에 부착된다.
신경 지배
내안근은 동안신경(oculomotor nerve, cranial nerve III)의 하분지로부터 신경 지배를 받는다. 동안신경은 외안근 중 내안근, 상안검거근, 하사근, 하직근을 지배하며, 부교감 신경 섬유를 통해 동공 수축과 모양체근 조절에도 관여한다.
기능
주요 기능은 눈을 안쪽으로 모으는 것이다. 책을 읽거나 가까운 물체를 볼 때, 양쪽 눈은 내안근의 작용으로 코 쪽으로 모여 대상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다른 외안근들과 협동하여 눈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임상적 중요성
- 사시 (Strabismus): 내안근의 기능 이상은 사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내안근의 과도한 수축은 내사시(esotropia)를 유발하고, 약화는 외사시(exotropia)를 유발할 수 있다.
- 동안신경 마비 (Oculomotor Nerve Palsy): 동안신경 마비는 내안근을 포함한 동안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들의 마비를 초래하여 복시, 눈꺼풀 처짐(ptosis), 동공 확장(mydriasis)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조절 기능 장애: 내안근의 기능은 눈의 조절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조절 기능 장애를 겪는 환자에게서 내안근의 이상이 발견될 수 있다.
같이 보기
- 외안근
- 상안검거근
- 동안신경
- 사시
- 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