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400건

절기

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각 절기는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나며, 농경 사회에서 농사 시기를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개요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 특히 황도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를 360도로 나누어 각 15도 간격마다 절기를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절기는 양력 날짜와 거의 일치하며, 음력 날짜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각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이름과 함께 농사일, 풍속 등과 관련된 의미를 지니고 있다.

24절기 목록

다음은 24절기의 순서와 대략적인 양력 날짜이다.

  1. 입춘(立春): 2월 4일 ~ 5일 경
  2. 우수(雨水): 2월 18일 ~ 19일 경
  3. 경칩(驚蟄): 3월 5일 ~ 6일 경
  4. 춘분(春分): 3월 20일 ~ 21일 경
  5. 청명(淸明): 4월 4일 ~ 5일 경
  6. 곡우(穀雨): 4월 19일 ~ 20일 경
  7. 입하(立夏): 5월 5일 ~ 6일 경
  8. 소만(小滿): 5월 20일 ~ 21일 경
  9. 망종(芒種): 6월 5일 ~ 6일 경
  10. 하지(夏至): 6월 21일 ~ 22일 경
  11. 소서(小暑): 7월 6일 ~ 7일 경
  12. 대서(大暑): 7월 22일 ~ 23일 경
  13. 입추(立秋): 8월 7일 ~ 8일 경
  14. 처서(處暑): 8월 22일 ~ 23일 경
  15. 백로(白露): 9월 7일 ~ 8일 경
  16. 추분(秋分): 9월 22일 ~ 23일 경
  17. 한로(寒露): 10월 8일 ~ 9일 경
  18. 상강(霜降): 10월 23일 ~ 24일 경
  19. 입동(立冬): 11월 7일 ~ 8일 경
  20. 소설(小雪): 11월 22일 ~ 23일 경
  21. 대설(大雪): 12월 6일 ~ 7일 경
  22. 동지(冬至): 12월 21일 ~ 22일 경
  23. 소한(小寒): 1월 5일 ~ 6일 경
  24. 대한(大寒): 1월 20일 ~ 21일 경

절기의 활용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절기가 농사일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각 절기에 맞는 농작물을 심고 수확하는 시기를 절기를 통해 가늠했다. 현대에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절기의 중요성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풍속과 기념일 등을 통해 절기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절기는 기상 변화를 예측하는 데에도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