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752건

구석기

구석기 시대 (舊石器時代, Paleolithic Period)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시대로, 타제 석기를 사용하여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하던 시대이다. 지질 시대 구분상으로는 홍적세(更新世, Pleistocene epoch)에 해당하며, 한반도에서는 대략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1만 년경까지 지속되었다고 추정된다.

개요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동굴이나 막집에서 생활하며, 주로 사냥을 통해 얻은 동물과 채집한 식물을 식량으로 삼았다. 석기를 제작하는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발전하여, 초기에는 단순한 격지(돌조각)를 사용하다가 점차 몸돌돌격지석기, 슴베찌르개 등 다양한 형태의 석기를 만들게 되었다.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추위와 맹수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음식을 익혀 먹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인류의 생존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문화적 특징

  • 타제 석기: 구석기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돌을 깨뜨려 만든 타제 석기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주먹도끼, 찍개, 긁개, 밀개 등 다양한 종류의 석기가 제작되어 사용 목적에 따라 활용되었다.
  • 이동 생활: 식량을 찾아 이동하는 수렵 및 채집 생활을 했기 때문에 정착 생활을 하지 않고 이동하며 살았다.
  • 동굴 및 막집 거주: 동굴이나 강가에 간단하게 지은 막집에서 생활하며 자연환경에 적응했다.
  • 집단 생활: 작은 규모의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협력적인 사냥과 채집 활동을 통해 생존을 도모했다.
  • 예술 활동: 후기 구석기 시대에는 동굴 벽화나 조각품 등 예술 활동의 흔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한반도에서는 연천 전곡리 유적, 공주 석장리 유적, 단양 금굴 유적 등에서 다양한 구석기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적들은 한반도에 오랜 기간 동안 인류가 거주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전곡리 유적에서는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발견되어 동아시아 지역의 구석기 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구분

구석기 시대는 석기 제작 기술의 발달 정도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 전기 구석기 시대: 단순한 격지 석기를 사용했으며, 주먹도끼나 찍개 등의 석기가 제작되었다.
  • 중기 구석기 시대: 석기 제작 기술이 발전하여 긁개, 밀개 등 다양한 종류의 석기가 제작되었다.
  • 후기 구석기 시대: 슴베찌르개와 같은 정교한 석기가 등장했으며, 예술 활동의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관련 항목

  • 신석기 시대
  • 청동기 시대
  • 석기 시대
  • 선사 시대
  • 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