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어
고어(Gore)는 일반적으로 신체 손상, 출혈, 절단, 내장 노출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혐오감을 일으키는 폭력적인 묘사를 뜻한다. 공포, 스플래터 영화, 비디오 게임, 문학 작품 등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며, 때로는 극적인 효과를 강조하거나 공포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고어 묘사의 강도와 빈도는 작품의 장르, 대상 관객,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작품에서는 고어 묘사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폭력의 잔혹함을 강조하는 반면, 다른 작품에서는 단순한 오락 요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고어는 종종 검열 및 윤리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지나치게 폭력적이거나 혐오스러운 묘사는 관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고어 묘사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작품의 등급 분류를 통해 관람 연령을 제한하기도 한다.
고어는 특정한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예술적 표현의 한 형태일 수 있지만, 동시에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