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507건

고서

고서는 오랜 기간 동안 보존되어 온 귀중한 서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니며, 인쇄술이 발달하기 이전의 필사본이나 초기 인쇄본을 포함한다.

정의 및 특징

  • 시간적 기준: 고서의 정의는 시대에 따라, 또 분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대 이전의 서적을 고서로 분류하지만, 소장 가치나 희소성에 따라 현대의 서적도 고서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 제작 방식: 고서는 주로 수작업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인쇄술의 발달 이후 대량 생산된 서적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필사본의 경우, 서체의 특징, 장정 방식, 사용된 재료 등을 통해 제작 시기와 배경을 추정할 수 있다. 초기 인쇄본 역시 인쇄 기술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 내용: 고서는 역사, 철학, 문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다. 과거 사람들의 사상, 생활,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며, 학술 연구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 가치: 고서는 희소성, 역사성, 예술성 등 다양한 가치를 지닌다. 오래된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으며, 예술적인 가치가 높은 장정이나 삽화를 포함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가치로 인해 고서는 문화재로서 보호받기도 하며, 수집가들의 주요 수집 대상이 되기도 한다.

분류

고서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제작 방식에 따른 분류: 필사본, 목판본, 활자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내용에 따른 분류: 역사서, 문학서, 철학서, 과학서, 의학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국가 및 지역에 따른 분류: 한국 고서, 중국 고서, 서양 고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보존 및 관리

고서는 오랜 시간 동안 보존되어 온 귀중한 자료이므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관리해야 한다. 온도, 습도, 빛,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며, 손상된 부분을 복원하는 보존 처리도 필요하다.

참고 문헌

  •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 정보마루

관련 항목

  • 필사본
  • 목판본
  • 활자본
  • 고문헌
  • 서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