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7,549건

겹눈

겹눈은 곤충, 갑각류 등 절지동물에서 볼 수 있는 시각 기관으로, 수많은 낱눈(ommatidium, 홑눈)이 모여 이루어진 눈을 말한다. 각각의 낱눈은 독립적으로 빛을 감지하여 모자이크와 같은 시각 정보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넓은 시야각과 움직임 감지에 유리한 시각 능력을 제공한다.

특징

  • 구성: 겹눈은 수백 개에서 수만 개의 낱눈으로 구성되어 있다. 낱눈은 각기 독립적인 각막, 수정체, 시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빛을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생성한다.
  • 시야각: 겹눈은 넓은 시야각을 제공한다. 이는 생존에 필수적인 포식자 감지 및 먹이 사냥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 움직임 감지: 겹눈은 움직임을 매우 잘 감지한다. 각 낱눈이 독립적으로 빛을 감지하고 변화를 빠르게 포착하기 때문이다. 이는 곤충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피하거나 추적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해상도: 겹눈의 해상도는 낱눈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낱눈의 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지만, 척추동물의 눈에 비해 해상도는 낮은 편이다.
  • 색각: 일부 곤충은 겹눈을 통해 색깔을 구별할 수 있다. 특히 벌은 인간이 볼 수 없는 자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기능

  • 시각 정보 처리: 각 낱눈에서 감지된 시각 정보는 뇌로 전달되어 통합적으로 처리된다. 뇌는 각 낱눈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지, 움직임, 거리 등을 인식한다.
  • 편광 감지: 일부 곤충은 겹눈을 통해 빛의 편광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방향 감각 및 탐색에 활용된다.
  • 거리 감지: 겹눈은 물체와의 거리를 추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낱눈의 배열 및 시차를 이용하여 거리를 파악한다.

진화

겹눈은 절지동물의 초기부터 진화해 온 시각 기관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겹눈의 구조와 기능은 크게 변화해왔으며, 이는 절지동물의 다양성에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