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장
견장(肩章)은 군복, 제복, 또는 특정 단체의 복장에 어깨에 부착하는 장식품의 일종이다. 계급, 소속, 공적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주로 천,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다.
역사
견장의 기원은 군사적인 필요에서 비롯되었다. 과거 군복은 계급 구별이 어려워 전투 중 아군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깨에 특정 표식을 부착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점차 발전하여 오늘날의 견장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초기에는 단순한 색깔이나 무늬를 사용했지만, 점차 다양한 재료와 복잡한 디자인이 사용되면서 계급과 소속을 더욱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기능과 종류
견장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계급 표시: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군인이나 경찰관의 계급을 나타낸다. 견장에 부착된 별, 줄, 잎 등의 기호는 각 계급을 상징한다.
- 소속 표시: 특정 부대, 부서, 또는 단체를 나타낸다. 견장에 부착된 휘장이나 약어 등을 통해 소속을 식별할 수 있다.
- 공적 기념: 특정한 공적이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부착되기도 한다. 훈장이나 메달과 함께 착용되기도 한다.
견장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된다.
- 재료: 천, 금속, 플라스틱, 자수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 모양: 직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꼴 등 다양한 모양이 존재한다.
- 부착 방식: 어깨에 꿰매거나, 단추로 고정하거나, 벨크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사회적 의미
견장은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권위, 자부심, 소속감 등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군인이나 경찰관에게는 자신의 계급과 임무에 대한 책임감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정 단체 구성원에게는 소속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견장은 제복을 착용하는 사람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