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자
개혁주의자(改革主義者)는 넓은 의미로는 사회, 정치, 종교,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기존의 제도나 관습을 고쳐 새롭게 하려는 개혁(改革)을 주창하거나 실천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그러나 기독교 개신교 신학 분야에서 개혁주의자는 종교 개혁의 정신을 이어받아 발전한 개혁주의(Reformed theology) 신학을 따르거나 지지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신학적 의미에서의 개혁주의자는 주로 16세기 종교 개혁가들, 특히 장 칼뱅과 츠빙글리의 신학적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는 특징을 지닌다.
일반적인 의미 일반적인 의미에서 개혁주의자는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위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목표를 가진다. 이들은 기존 체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대안을 제시하며, 점진적이거나 때로는 급진적인 방식으로 변화를 추구하기도 한다. 개혁의 대상과 방식은 시대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신학적 의미 신학적 의미에서 개혁주의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기원: 종교 개혁 시대의 주요 인물인 장 칼뱅(John Calvin), 울리히 츠빙글리(Ulrich Zwingli), 존 낙스(John Knox) 등의 신학을 따르며, 이들의 사상이 발전한 개혁주의 신학의 전통 속에 있다.
- 핵심 교리: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은혜를 강조한다. 구원의 과정에서 인간의 역할보다는 전적인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Predestination)을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성경을 신앙과 삶의 유일하고 최종적인 권위(Sola Scriptura)로 삼는다. 종교 개혁의 5대 원리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믿음(Sola Fide), 오직 그리스도(Solus Christus),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을 신봉한다.
- 영향: 개혁주의 신학은 장로교(Presbyterian), 개혁교회(Reformed Church), 회중교회(Congregationalist) 등 여러 개신교 교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교파에 속한 신도들이나 목회자들이 자신들을 개혁주의자로 정체화하는 경우가 많다.
- 특징: 예배의 단순성과 성경 강해를 중시하며,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개혁주의자'라는 용어는 문맥에 따라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사람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특히 신학적 맥락에서는 종교 개혁의 정신과 개혁주의 신학을 따르는 사람을 의미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