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각막염

각막염은 각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각막은 눈의 가장 바깥쪽 투명한 막으로,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각막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 또한 원인과 심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원인:

  • 감염: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의 감염은 각막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외상: 각막에 물리적인 상처가 생기거나 화학 물질에 노출되면 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 알레르기: 꽃가루, 먼지, 동물 털 등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 안구건조증: 눈물 부족으로 인해 각막 표면이 건조해지면 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 자가면역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등 자가면역 질환이 있는 경우 각막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 기타: 신경 마비, 비타민 A 결핍 등도 각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

  • 눈의 통증: 눈이 찌르는 듯하거나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 눈물 흘림: 눈물이 과도하게 나올 수 있다.
  • 눈부심: 밝은 빛에 눈이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다.
  • 시력 저하: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거나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
  • 눈 충혈: 눈의 흰자위가 붉게 충혈될 수 있다.
  • 눈곱: 눈곱이 많이 생길 수 있다.

진단:

  • 세극등 검사: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막의 상태를 자세히 관찰한다.
  • 각막 염색 검사: 특수 염색약을 이용하여 각막 표면의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 배양 검사: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각막 표면의 샘플을 채취하여 균을 배양한다.

치료:

각막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 감염성 각막염: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등을 사용하여 감염을 치료한다.
  • 알레르기성 각막염: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안약 등을 사용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한다.
  •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각막염: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각막을 촉촉하게 유지한다.
  • 심한 각막 손상: 각막 이식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예방:

  • 콘택트렌즈 관리 철저: 콘택트렌즈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깨끗하게 관리한다.
  • 눈 보호: 작업 시 보안경을 착용하고, 화학 물질을 다룰 때 주의한다.
  • 눈 건강 유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고, 눈에 좋은 음식을 섭취한다.

합병증:

각막염을 방치하면 각막 혼탁, 각막 궤양, 시력 상실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막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