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PE

PE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의 약자로, 에틸렌의 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중 하나이며, 다양한 성질과 용도를 가진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주로 석유화학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종류 및 특징:

PE는 제조 과정과 분자 구조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고밀도 폴리에틸렌(UHMWPE) 등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각 종류는 밀도, 인장강도, 투명도, 내열성 등의 물성이 다르며, 이에 따라 용도가 다양하게 구분된다.

  •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분자 구조가 가지를 많이 가지고 있어 유연하고 투명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필름, 비닐 백, 포장재 등에 주로 사용된다.

  •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분자 구조가 가지를 적게 가지고 있어 강도와 강성이 높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병, 용기, 파이프, 장난감 등에 사용된다.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LDPE와 HDPE의 중간 정도의 특성을 가지며,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필름, 포장재, 코팅 등에 사용된다.

  • 초고밀도 폴리에틸렌 (UHMWPE): 매우 높은 분자량을 가지고 있어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화학성이 매우 우수하다. 베어링, 절삭 공구, 방탄복 등에 사용된다.

용도:

PE는 그 다양한 종류와 특성 덕분에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포장재, 용기, 필름, 파이프, 코팅, 장난감, 가구, 의료용품 등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PE 소재 개발 및 재활용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환경적 영향:

PE는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생분해되지 않아 환경 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재활용 및 친환경적인 대체 소재 개발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