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훈민정음은 1443년(세종 25년)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이 창제하고 1446년(세종 28년)에 반포한 우리나라의 문자이자, 그 문자를 설명한 책의 이름이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세종대왕은 어려운 한자 대신 백성들이 쉽게 배우고 익혀 자신의 뜻을 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문자를 만들고자 하였으며, 이것이 바로 훈민정음이다. 오늘날 우리는 이 문자를 한글이라고 부른다.
창제 배경 및 목적 당시 조선의 지식층은 주로 한자를 사용하였으나, 일반 백성들은 한자를 배우기 어려워 문맹률이 매우 높았다. 이로 인해 백성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어려움을 글로 표현하기 어렵고, 법이나 국가의 정책을 이해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었다. 세종대왕은 이러한 백성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모든 백성이 글자를 통해 소통하며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우기 쉬운 새로운 문자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이는 백성을 향한 깊은 애민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성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은 단순히 문자의 이름뿐만 아니라, 문자의 제자 원리와 사용법을 설명한 책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책은 훈민정음 해례본(解例本)으로 불리며, 크게 '예의'(例義) 부분과 '해례'(解例) 부분으로 나뉜다.
- 예의(例義): 새로 만든 문자의 기본적인 형태와 용례를 간단히 설명한 부분이다. 세종이 직접 작성하였다.
- 해례(解例): 글자(자음과 모음)를 만든 원리, 합자법(글자를 모아 쓰는 법), 용자법(글자를 사용하는 법)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 부분이다. 집현전 학자들(정인지, 신숙주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작성하였다. 특히 해례 부분은 훈민정음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원리로 만들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반포 훈민정음은 1446년 음력 9월에 공식적으로 반포되었다. 세종은 훈민정음의 보급을 위해 '용비어천가'와 같은 서적을 훈민정음으로 편찬하여 백성들이 자연스럽게 새로운 문자에 익숙해지도록 노력하였다.
영향 및 가치 훈민정음은 배우기 쉽고 과학적인 문자 체계로서, 한국의 문맹률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민족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모든 소리를 표기할 수 있는 탁월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과학성과 독창성은 세계 문자 역사상 매우 높이 평가받고 있다. 특히, 훈민정음 해례본은 세계 문자 중 유일하게 창제자, 창제 연대, 창제 원리가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는 자료로서, 문자의 기원을 알 수 있는 귀중한 기록 유산이다.
현황 훈민정음 해례본은 현재 대한민국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