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화광
황화광은 화학식 ZnS로 표현되는 황과 아연의 화합물이다. 자연적으로는 섬아연석(Sphalerite)이라는 광물 형태로 존재하며, 뷔르자이트(Wurtzite)와 같은 다른 결정 구조로도 나타난다. 섬아연석은 주요 아연 광석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물리적 특성
황화아연은 순수한 상태에서는 흰색 또는 무색을 띠지만, 철이나 망간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될 경우 노란색, 갈색, 검은색 등 다양한 색깔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육면체 결정을 이루며, 굳기는 3.5에서 4 사이이다. 녹는점은 약 1850°C이며, 물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화학적 특성
황화아연은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이며, 강산과 반응하여 황화수소를 생성한다.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산화되어 산화아연과 이산화황을 생성한다. 또한, 황화아연은 자외선 또는 전자빔에 노출되면 형광을 나타내는 성질이 있어, 다양한 광학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활용된다.
용도
황화아연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다.
- 형광체: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X선 스크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형광체의 주성분이다.
- 안료: 페인트, 플라스틱, 고무 등에 사용되는 흰색 안료로 사용된다.
- 반도체: 태양 전지, 발광 다이오드 (LED) 등 다양한 반도체 장치에 사용된다.
- 광학 재료: 적외선 광학 장치, 레이저 창 등 다양한 광학 재료로 사용된다.
안전성
황화아연은 일반적으로 독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분진 형태로 흡입할 경우 호흡기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황화아연을 취급할 때에는 적절한 보호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화합물
- 산화아연 (ZnO)
- 황화카드뮴 (CdS)
- 황화수소 (H2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