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틱 스위밍
아티스틱 스위밍(Artistic Swimming), 과거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Synchronized Swimming)은 수중에서 음악에 맞춰 다양한 동작과 구성을 연출하는 스포츠이다. 뛰어난 수영 실력은 물론, 리듬감, 유연성, 표현력, 팀워크 등이 요구된다.
개요
아티스틱 스위밍은 개인 또는 단체(듀엣, 팀)로 참가하여 지정된 기술 요소를 수행하고 창의적인 안무를 선보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심판은 기술적인 정확성과 예술적인 표현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여성 선수들의 참여가 두드러진다.
역사
아티스틱 스위밍의 기원은 19세기 말 유럽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수중 발레'와 같은 이름으로 불리며 여가 활동으로 인기를 얻었다. 20세기 초에 스포츠로서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으며,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등장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17년 '아티스틱 스위밍'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경기 방식
아티스틱 스위밍 경기는 솔로, 듀엣, 팀, 그리고 프리 콤비네이션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다. 각 종목은 기술 루틴(Technical Routine)과 프리 루틴(Free Routine)으로 나뉜다. 기술 루틴은 필수적인 기술 요소를 포함해야 하며, 프리 루틴은 음악과 안무의 창의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심판은 기술적인 정확성, 예술적인 표현력, 음악과의 조화 등을 기준으로 점수를 매긴다.
주요 기술 요소
아티스틱 스위밍에는 다양한 기술 요소가 존재하며,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트러스트(Trust): 파트너의 지지 없이 한 선수가 수면 위로 높이 올라가는 동작.
- 리프트(Lift): 여러 명의 선수가 한 명의 선수를 수면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
- 롤(Roll): 몸을 회전하며 수면 위로 올라오는 동작.
- 스핀(Spin): 몸을 회전하며 물 속에서 회전하는 동작.
평가 요소
심판은 기술적인 실행력과 예술적인 표현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기술적인 실행력은 자세의 정확성, 동작의 난이도, 싱크로나이즈의 정도 등을 포함하며, 예술적인 표현력은 안무의 창의성, 음악과의 조화, 연기자의 표현력 등을 포함한다.
기타
아티스틱 스위밍은 수영 실력뿐만 아니라 유연성, 근력, 리듬감, 팀워크 등 다양한 능력을 요구하는 스포츠이다. 또한, 아름다운 음악과 화려한 안무가 어우러져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