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철
황철석 (黃鐵石, Pyrite)은 화학식 FeS₂를 가지는, 금속 광택을 띠는 황화 철 광물이다. 겉모습이 황금과 유사하여 'fool's gold'(바보 금)라고도 불린다.
1. 개요
황철석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생성된다.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은 물론, 열수 광맥, 퇴적 광상 등에서도 발견된다. 결정 구조는 등축정계에 속하며, 보통 입방체, 팔면체, 오각십이면체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쪼개짐은 불완전하며, 단구는 불규칙하고, 굳기는 6-6.5, 비중은 5.0 정도이다. 황철석은 산화되면 황산과 수산화 철로 변질되어 갈철석 등의 2차 광물을 생성하기도 한다.
2. 특징
- 색과 광택: 황동색을 띠며, 금속 광택이 강하다.
- 화학 조성: 철과 황의 화합물(FeS₂)이다. 종종 소량의 금, 은, 구리, 니켈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 결정 구조: 등축정계
- 산출: 다양한 암석에서 산출되며, 특히 열수 광맥에서 많이 발견된다.
- 용도: 황산 제조의 원료, 장식용 석재, 과학 실험 등에 사용된다. 과거에는 귀금속 탐사의 지표 광물로도 활용되었다.
3. 주의 사항
황철석은 외관상 금과 유사하지만, 금보다 훨씬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또한, 황철석은 불에 타면 아황산가스를 발생시키므로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다루어야 한다.
4. 관련 용어
- 백철석 (Marcasite)
- 황동석 (Chalcopyrite)
- 방연석 (Gal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