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암
황산암은 주로 황산염 광물로 구성된 퇴적암의 일종이다. 석고(Gypsum, CaSO₄·2H₂O)나 경석고(Anhydrite, CaSO₄)가 주 구성 광물이며, 때로는 방해석(Calcite, CaCO₃)이나 돌로마이트(Dolomite, CaMg(CO₃)₂)와 같은 탄산염 광물이 소량 포함되기도 한다.
특징
- 색상: 흰색, 회색, 갈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띨 수 있으며, 불순물의 함량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 조직: 일반적으로 미정질 또는 세립질의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층상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 생성 환경: 염도가 높은 환경, 예를 들어 석호, 사막 호수, 증발암 분지 등에서 화학적 침전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해수가 증발하면서 황산염 광물이 농축되어 침전되는 과정에서 생성되기도 한다.
- 용도: 석고는 건축 자재, 비료, 의약품 등에 사용되며, 경석고는 시멘트 제조 등에 활용된다.
분류
황산암은 주 구성 광물에 따라 석고암(Gyprock)과 경석고암(Anhydrite rock)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석고암은 석고가 50% 이상 함유된 암석이며, 경석고암은 경석고가 50% 이상 함유된 암석을 의미한다.
산출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산출되며, 대한민국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주로 퇴적암 지층에서 산출되며, 과거 증발 환경이 존재했던 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