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증
현기증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증상이다. 어지럼증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정의
현기증은 단순히 머리가 띵하거나 어찔한 느낌과는 구별된다. 이는 실제로 회전하거나 흔들리는 듯한 착각을 동반하며, 균형 감각 상실과 관련될 수 있다. 때로는 구토, 메스꺼움, 불안감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원인
현기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말초성 현기증: 내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로, 양성돌발성체위현훈(BPPV),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등이 대표적이다.
- 중추성 현기증: 뇌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로, 뇌졸중, 뇌종양, 다발성 경화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기타 원인: 기립성 저혈압, 빈혈, 약물 부작용, 스트레스, 불안 등이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증상
현기증의 증상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 회전감 (자신이나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느낌)
- 균형 감각 상실
- 보행 장애
- 메스꺼움, 구토
- 식은땀
- 이명, 청력 저하 (특정 원인에 한함)
- 두통, 시야 흐림 (특정 원인에 한함)
진단
현기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신경학적 검사, 이비인후과 검사, 뇌 영상 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치료
현기증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진다. 말초성 현기증의 경우, 이석증 치료, 전정 재활 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중추성 현기증의 경우,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증상 완화를 위해 항히스타민제, 진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방
현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 습관,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이 중요하다. 또한,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 경우, 천천히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고, 빈혈이 있는 경우, 철분 섭취에 신경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