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13건

액체

정의: 용액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균일하게 섞여 있는 혼합물이다. 용액을 구성하는 물질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물질을 용매, 용매에 녹아 있는 물질을 용질이라고 한다. 용매와 용질은 분자 수준에서 균일하게 섞여 있어서, 육안이나 현미경으로도 구분할 수 없다.

특징:

  • 균일성: 용액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성을 가지고 있다. 즉, 어느 부분을 취하더라도 조성이 동일하다.
  • 안정성: 일반적으로 용액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용질과 용매가 서로 강하게 상호작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 투명성: 대부분의 용액은 투명하다. 하지만 용액의 농도가 매우 높거나 용질의 색깔이 진할 경우 불투명해질 수도 있다.
  • 여과 불가능: 용액의 용질 입자는 용매 분자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일반적인 여과 방법으로는 분리할 수 없다.

종류:

용매의 종류에 따라 용액을 분류할 수 있다. 물이 용매인 경우 수용액, 유기 용매가 용매인 경우 유기 용액이라고 한다. 또한, 용질의 상태에 따라 고체 용액, 액체 용액, 기체 용액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예시:

  • 소금물 (물: 용매, 소금: 용질)
  • 설탕물 (물: 용매, 설탕: 용질)
  • 공기 (질소, 산소 등 여러 기체의 혼합물: 용액)
  • 청동 (구리와 주석의 합금: 고체 용액)

관련 용어:

  • 농도: 용액에서 용질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 몰농도, 몰랄농도, 질량 백분율 등 다양한 농도 단위가 사용된다.
  • 포화 용액: 특정 온도와 압력에서 더 이상 용질을 녹일 수 없는 용액.
  • 불포화 용액: 특정 온도와 압력에서 더 많은 용질을 녹일 수 있는 용액.
  • 과포화 용액: 특정 온도와 압력에서 평형보다 더 많은 용질을 녹이고 있는 불안정한 용액.

참고: 용액의 성질은 용매와 용질의 종류, 농도, 온도, 압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