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238건

묵음

묵음(黙音)은 소리 내어 발음하지 않는 글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단어 내에서 특정한 음운 규칙이나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발음되지 않게 된 자음이나 모음을 가리킨다.

개요

묵음은 언어의 발음 체계에서 예외적인 현상으로, 학습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묵음의 존재는 단어의 철자와 실제 발음 간의 불일치를 초래하며, 이는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 중 하나로 작용하기도 한다. 묵음은 언어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며, 특정 언어에서는 묵음이 매우 흔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묵음의 발생 원인

묵음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역사적 음운 변화: 과거에는 발음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발음이 사라진 경우이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knight의 'k'는 과거에는 발음되었지만 현재는 묵음으로 처리된다.
  • 동화 현상: 인접한 음운의 영향으로 발음이 변하거나 사라지는 경우이다.
  • 철자 유지: 과거의 철자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발음만 변화한 경우이다.
  • 차용어: 다른 언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원래 언어의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이다.

묵음의 예시

다양한 언어에서 묵음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 영어: knight(기사), know(알다), write(쓰다) 등에서 'k', 'w'는 묵음이다. hour(시간), honest(정직한) 등에서 'h'는 묵음이다. comb(빗), bomb(폭탄) 등에서 'b'는 묵음이다.
  • 프랑스어: beaucoup(많이), et(그리고), nez(코) 등에서 어말 자음은 대부분 묵음이다.
  • 한국어: '닭', '삶' 등의 받침 'ㄺ', 'ㄻ'에서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오지 않으면 'ㄱ', 'ㅁ'은 묵음으로 처리되는 경향이 있다. (예: 닭[닥], 삶[삼])
  • 독일어: stumm(벙어리의)에서 'm'이 중복되어 발음되지 않음.

참고 문헌

  • (언어학 관련 서적)
  • (음운론 관련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