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해수는 지구 표면의 약 70% 이상을 덮고 있는 바다의 물을 의미한다. 염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구의 기후, 생태계, 그리고 인간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개요
해수는 단순히 물(H₂O) 분자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염류, 용존 기체, 유기물, 그리고 부유 물질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혼합물이다. 이러한 구성 성분은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며, 해양 생태계의 기반이 된다.
성분
- 염류: 해수의 가장 중요한 구성 성분 중 하나로, 염화나트륨(NaCl)이 가장 많으며, 염화마그네슘(MgCl₂), 황산마그네슘(MgSO₄), 황산칼슘(CaSO₄), 염화칼륨(KCl) 등이 포함된다. 염분은 해수의 밀도, 어는점, 전기 전도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 용존 기체: 산소(O₂), 질소(N₂), 이산화탄소(CO₂) 등이 해수에 녹아 있으며, 해양 생물의 호흡과 광합성, 그리고 해수의 pH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유기물: 플랑크톤, 어류, 해조류 등의 생물체와 그들의 분해 산물, 그리고 육지에서 유입된 유기 물질 등을 포함한다. 유기물은 해양 생태계의 에너지원이며, 해수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 부유 물질: 흙, 모래, 점토 등의 무기물과 플랑크톤, 세균 등의 생물체로 구성된다. 부유 물질은 해수의 투명도를 감소시키고, 해저 퇴적물의 형성에 기여한다.
물리적 특성
- 염분: 해수에 녹아 있는 염류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천분율(‰, parts per thousand)로 표시한다. 평균 해수 염분은 약 35‰이다.
- 온도: 해수의 온도는 위도, 계절, 수심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표층 해수의 온도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온도는 낮아진다.
- 밀도: 해수의 밀도는 온도, 염분, 압력에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고 염분이 높으며 압력이 높을수록 밀도가 증가한다. 밀도 차이는 해수의 순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중요성
해수는 지구의 기후 조절, 해양 생태계 유지, 그리고 인간 활동에 필수적인 자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후 조절: 해수는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고 저장하며, 대기로 열을 방출하여 지구의 온도 변화를 완화시킨다. 또한, 해수의 순환은 열에너지를 전 지구적으로 분배하여 지역별 기후 차이를 조절한다.
- 해양 생태계 유지: 해수는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며, 해양 생태계의 기반을 제공한다. 해양 생물은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한다.
- 인간 활동: 해수는 운송, 어업, 관광,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인간 활동에 이용된다. 또한, 해수는 담수화 과정을 통해 식수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해양 심층수는 산업 및 의료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관련 용어
- 해류
- 조석
- 해양 오염
- 해양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