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한편은 한국어의 연결어미로, 앞서 제시된 내용과는 별개의 다른 내용을 제시할 때 사용된다. 전후 문장의 내용적 연관성은 낮거나, 대조적인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상황이나 사건을 나열하거나,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때로는 전환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용례:
- A라는 사건이 발생했다. 한편, B라는 사건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었다. (두 사건의 병행을 나타냄)
- 그는 열심히 노력했다. 한편,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대조적인 결과를 나타냄)
- 경제는 성장하고 있다. 한편, 사회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다. (상반되는 현상을 제시함)
유의어:
- 그러나
- 반면에
- 반대로
- 다른 한편으로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다른 표현:
- 한편으로는 ... 다른 한편으로는 ... (두 가지 상반되는 측면을 제시할 때 사용)
- 그런데 (보다 구어적인 표현)
어원:
'한'은 '하나'의 준말이며, '편'은 '쪽' 또는 '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편'은 '하나의 쪽' 또는 '하나의 면'을 의미하며, 이는 하나의 독립적인 상황이나 관점을 나타낸다.
참고:
'한편'은 문장의 연결어미로 사용되므로, 앞뒤 문장과의 문맥상의 관계를 고려하여 사용해야 한다. 단순히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후 문장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