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521건

하천종단도

하천종단도는 하천의 종단적인 형태, 즉 하천의 상류에서 하류까지의 길이에 따른 수위, 경사, 횡단면적 등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천의 여러 지점의 고도와 거리를 측량하여 작성하며, 하천의 특징을 파악하고, 하천 관리 및 개발 계획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수평축에는 하천의 거리(상류에서 하류 방향), 수직축에는 하천의 고도(수위 또는 하상고)를 나타낸다.

주요 내용:

  • 수위(Water Level): 하천의 수면 높이를 나타내며, 홍수 시의 최고 수위나 평상시의 수위 등 다양한 수위 정보를 표시한다.
  • 하상고(Bed Level): 하천 바닥의 고도를 나타낸다. 수위와 하상고의 차이는 유수 깊이를 나타낸다.
  • 경사(Slope): 하천의 기울기를 나타내며, 하천의 유속과 침식, 퇴적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종단도에서 경사는 선의 기울기로 표현된다.
  • 횡단면적(Cross-sectional Area): 하천의 단면적을 나타내며, 유량 계산에 사용된다. 종단도에는 직접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나, 횡단면도와 함께 사용하여 유량을 산정할 수 있다.
  • 지형지물(Topography): 하천 주변의 지형 정보(예: 제방, 교량, 보 등)가 함께 표시되어 하천의 공간적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 측량점(Survey Point): 하천의 각 측량 지점의 위치와 고도를 명확하게 나타낸다.

활용 분야:

  • 하천 관리: 하천의 흐름 특성 파악, 홍수 예측 및 방재 계획 수립, 하천 정비 계획 수립 등에 활용된다.
  • 하천 개발: 하천의 수자원 개발, 수력발전, 하천 준설 등의 계획 수립에 활용된다.
  • 환경 영향 평가: 하천 공사 등의 환경 영향 평가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학술 연구: 하천의 지형 변화, 유량 변화, 수질 변화 등을 연구하는데 활용된다.

관련 용어:

  • 횡단면도: 하천의 특정 지점을 가로지르는 단면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하천종단도와 함께 사용되어 하천의 입체적인 형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 유량: 단위 시간당 하천을 흐르는 물의 양. 하천종단도와 횡단면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하천종단도는 하천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관련 분야의 계획 및 연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