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영어: Prebiotics)는 살아있는 미생물(프로바이오틱스) 자체가 아니라,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이나 활성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비소화성 식품 성분 또는 물질을 의미한다. '프리바이오틱스'라는 용어는 1995년 Gibson과 Roberfroid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인간의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되거나 흡수되지 않고 장까지 도달하여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다. 이 발효 과정을 통해 짧은 사슬 지방산(SCFA) 등 유익한 대사 산물이 생성되며, 이는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숙주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건강에 유익한 살아있는 미생물 그 자체를 의미하며, 프리바이오틱스는 이러한 유익균의 '먹이' 또는 '성장 촉진제' 역할을 하는 비소화성 성분이라는 점에서 명확히 구분된다. 따라서 프리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활성 및 증식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프리바이오틱스로는 이눌린(Inulin), 프락토올리고당(FOS), 갈락토올리고당(GOS), 자일로올리고당(XOS) 등이 있으며, 이는 양파, 마늘, 치커리 뿌리, 바나나, 아스파라거스, 보리, 귀리, 콩 등 다양한 식물성 식품에 자연적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건강 기능 식품 형태로 섭취하기도 한다.
프리바이오틱스 섭취는 장내 유익균 증식, 유해균 억제, 면역 기능 조절, 미네랄(특히 칼슘, 마그네슘) 흡수 증진, 장 운동성 개선, 배변 활동 원활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라 프리바이오틱스의 정의가 좀 더 정교해져, "숙주에게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는, 숙주의 미생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기질"로 정의되기도 한다. 이는 프리바이오틱스가 반드시 장내 미생물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잠재적인 건강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