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대 습윤 기후
냉대 습윤 기후 (冷帶濕潤氣候, 영어: humid continental climate)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D)에 속하며, 여름이 온난하거나 서늘하고 겨울이 춥고 강수량이 비교적 많은 기후를 의미한다. 쾨펜 기후 기호로는 Dfa, Dfb, Dwa, Dwb 등이 사용된다.
특징
- 사계절: 뚜렷한 사계절을 가지며, 특히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다.
- 강수량: 연중 강수량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며, 여름철에는 대류성 강우, 겨울철에는 강설의 형태로 나타난다.
- 식생: 혼합림 또는 침엽수림이 발달한다. 토양은 비옥한 편이며, 농업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 기온: 최한월 평균 기온이 -3°C (또는 0°C) 이하이고, 최난월 평균 기온이 10°C 이상이다.
분포
- 주로 북반구의 대륙 동안에 위치하며, 동유럽, 러시아, 중국 북동부, 한반도 북부, 캐나다 남동부, 미국 북동부 등에서 나타난다.
세부 기후 구분
- Dfa: 여름이 덥고 습한 냉대 습윤 기후
- Dfb: 여름이 온난하고 습한 냉대 습윤 기후
- Dwa: 겨울이 춥고 건조한 냉대 습윤 기후 (여름은 덥고 습함)
- Dwb: 겨울이 춥고 건조한 냉대 습윤 기후 (여름은 온난하고 습함)
인간 생활
냉대 습윤 기후 지역은 농업, 임업, 공업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뚜렷한 계절 변화는 사람들의 생활 양식에 영향을 미치며, 계절에 맞는 다양한 문화가 발달하기도 한다. 다만, 겨울철 추위로 인해 난방 시설이 필수적이며, 농작물의 생육 기간이 짧다는 제약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