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폴링

폴링은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시스템이나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는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인터럽트 방식과 대조되는 개념이다. 폴링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상태를 확인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일이 수행하기 때문에 자원 소모가 인터럽트 방식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구현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하드웨어 지원이 적은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류:

  • 주기적 폴링(Periodic Polling):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상태를 확인한다.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응답 속도는 빠르지만 시스템 부하가 증가한다.
  • 이벤트 기반 폴링(Event-driven Polling):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지 않지만,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장점:

  • 구현이 간단하다: 인터럽트 처리에 비해 구현이 용이하다.
  • 하드웨어 의존성이 낮다: 특별한 하드웨어 지원 없이도 구현 가능하다.

단점:

  • 자원 소모가 크다: 지속적으로 상태를 확인해야 하므로 CPU 자원을 많이 소모할 수 있다.
  • 응답 속도가 느릴 수 있다: 폴링 간격이 길 경우 응답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태 변화가 드물 경우 불필요한 자원 소모를 초래한다.

응용 분야:

폴링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 센서 데이터를 읽어들일 때,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관련 용어:

  • 인터럽트 (Interru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