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890건

폭식

폭식 (暴食, binge eating)은 짧은 시간 동안 일반적인 사람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고, 섭취하는 동안 스스로 조절 능력을 상실했다는 느낌을 받는 행위를 말한다. 폭식은 단순한 과식과는 구별되며,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섭식 행동 장애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

정의 및 특징

폭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단시간 대량 섭취: 2시간 이내의 짧은 시간 동안 대부분의 사람들이 먹는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한다.
  • 조절 능력 상실: 음식 섭취를 시작하거나 멈추는 것에 대한 통제력을 잃는 느낌을 받는다.
  • 불쾌한 감정: 폭식 후 죄책감, 혐오감, 우울감 등의 불쾌한 감정을 느낀다.
  • 반복적인 발생: 폭식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원인

폭식의 원인은 단일하지 않으며, 유전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불안, 우울, 외로움, 낮은 자존감 등이 폭식을 유발할 수 있다.
  • 생물학적 요인: 뇌의 식욕 조절 기능 이상, 호르몬 불균형 등이 폭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사회문화적 요인: 날씬함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다이어트 강박 등이 폭식을 유발할 수 있다.
  • 유전적 요인: 폭식 장애는 가족력이 있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유전자가 폭식에 대한 취약성을 높일 수 있다.

영향

폭식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신체적 영향: 체중 증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소화 불량, 복통, 위장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정신적 영향: 우울증, 불안 장애, 섭식 장애, 낮은 자존감, 사회적 고립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

폭식 장애의 치료는 심리 치료, 약물 치료, 영양 교육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 심리 치료: 인지 행동 치료 (CBT), 대인 관계 치료 (IPT) 등이 폭식 행동의 원인을 파악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 약물 치료: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이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폭식 충동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영양 교육: 건강한 식습관, 적절한 칼로리 섭취 등을 교육하여 폭식을 예방하고,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주의 사항

폭식은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폭식 장애가 의심될 경우, 정신과 의사, 심리 치료사, 영양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