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위
편위 (偏差 또는 偏位, 문화어: 편쏠림)는 어떤 기준, 평균, 정상 상태 등에서 벗어나거나 치우치는 정도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다양한 학문 분야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한자로는 주로 '치우칠 편(偏)'에 '다를 차(差)' 또는 '자리 위(位)'를 사용한다.
용례
편위는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통계학
통계학에서 편위는 데이터 값이 평균 또는 예상되는 값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의미하는 다양한 개념을 포괄한다.- 편차 (Deviation): 각 데이터 값이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 표준 편차 (Standard Deviation): 데이터가 평균을 중심으로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편차들의 제곱 평균에 루트를 씌운 값으로, 데이터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 오차 (Error) / 잔차 (Residual): 측정값이나 예측값이 실제 값 또는 관측된 값과 다른 정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 편향 (Bias): 통계적 추정량의 기대값이 실제 모수와 다른 정도를 의미한다.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서 모수를 정확하게 추정하지 못하게 하는 경향을 말한다.
심리학
심리학에서는 정상적이거나 일반적인 생각, 행동, 인지 과정 등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인지 편향 (Cognitive Bias): 개인이 정보를 처리하거나 판단할 때 비합리적으로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말한다. 예를 들어, 확증 편향(자신의 신념을 뒷받침하는 정보만 수용하는 경향)이나 가용성 편향(쉽게 떠올릴 수 있는 정보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경향) 등이 있다.
물리학 및 항해학
물리학이나 항해학에서는 물리량이나 측정값이 기준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자차 (Magnetic Deviation): 나침반이 지구 자기장 방향이 아닌 선박이나 항공기 내의 자성체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는 각도를 의미한다. 이는 항해 시 정확한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보정되어야 한다.
- 측정값이나 물리량이 이론값 또는 예상되는 값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의학
의학에서는 신체 기관이나 부위가 정상적인 위치나 형태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척추 편위 (Spinal Deviation): 척추가 정상적인 정렬에서 벗어나 한쪽으로 휘거나 기울어진 상태를 의미하며, 척추측만증(Scoliosis)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안구 편위 (Ocular Deviation): 두 눈의 시선이 한 점을 향하지 못하고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 사시(Strabismus) 등의 상태를 의미한다.
측량학
측량학에서는 측정된 방향이나 위치가 기준 방향 또는 실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의미한다.- 연직선 편위 (Deflection of the Vertical): 중력 방향(연직선)이 지구 타원체의 법선 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미세하게 벗어나는 각도를 의미한다. 지구 내부 밀도 분포의 불균일성 때문에 발생한다.
이 외에도 편위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준이나 정상 상태로부터의 벗어남, 차이, 치우침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